대한민국 표준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표준어는 일제강점기 한국어 사용 규제에 대응하여 조선어학회(한글 학회)가 자체적으로 만든 한국어 표준안이다. 2009년 헌법재판소는 표준어 규정 관련 위헌확인 사건에서 표준어 규정 자체에 대한 심판 청구는 각하하고, 공문서 작성과 교과서 제작에 표준어 규정을 준수하도록 한 조항은 기각했다. 헌법재판소는 표준어 규정이 공적 언어생활의 최소한의 범위를 규율하며, 공문서 및 교과서의 통일성을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언어 - 한국어
한국어는 한국과 북한에서 주로 사용되는 한국어족 언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 또는 한국말, 북한에서는 조선어 또는 조선말이라 불리며, 훈민정음으로 표기되는 독자적인 문자 체계, 교착어적 특징, 유연한 어순, 복잡한 존칭 체계를 가진다. - 대한민국의 언어 - 동남 방언
동남 방언은 경상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한국어 방언으로, 표준어와 다른 음운 및 문법 체계를 가지며, 고저 악센트와 고유 어휘, 중세 국어의 영향 등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 표준어 - 필리핀어
필리핀어는 타갈로그어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다른 필리핀 언어들의 요소를 수용하며 진화하는 필리핀의 국어이자 공용어로서, 필리핀어 위원회에서 발전과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으며, 법원에서도 사용이 장려되지만 타갈로그어와의 관계 및 다른 언어들과의 통합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 표준어 - 인도네시아어
인도네시아어는 해협 말레이어를 기반으로 발전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20세기 초 네덜란드 식민지배 하에서 보급이 추진되어 1928년 인도네시아의 국어로 채택되었으며, 독립 후 정부의 지원으로 국가 통합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고, 2억 명 이상의 화자를 보유하며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 - 한국어 어문 규정 - 문장 부호
문장 부호는 문장의 구조와 의미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호로,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쉼표 등 다양한 기호와 각 기호의 명칭(북한 명칭 포함) 및 사용법을 포함한다. - 한국어 어문 규정 - 한글 맞춤법
한글 맞춤법은 한국어 표기 규칙을 정한 규정으로,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기반으로 1988년 개정되어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남북한 맞춤법 차이 및 띄어쓰기 규정 개선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대한민국 표준어 | |
---|---|
개요 | |
![]() | |
유형 | 표준어 |
언어 | 한국어 |
국가 | 대한민국 |
근거 | 대한민국 헌법 국어기본법 |
역사 | |
제정 | 1936년 |
표준어 사정 요강 공표 | 1988년 1월 19일 |
특징 | |
어휘 | 현대 서울 지역에서 사용되는 어휘를 기준으로 함. |
문법 | 일반 대중이 사용하는 한국어의 문법 체계를 따름. |
발음 | 표준 발음법에 따름. |
사용 | |
공용어 | 대한민국의 공용어 |
교육 | 대한민국의 학교 교육에서 사용됨. |
방송 | 대한민국의 방송에서 사용됨. |
공식 문서 | 대한민국의 공식 문서에서 사용됨. |
관련 규정 | |
한글 맞춤법 | http://korean.go.kr/09_new/dic/rule/rule01.jsp |
표준어 규정 | http://korean.go.kr/front/etcData/etcDataView.do?mn_id=216&etc_seq=104 |
외래어 표기법 | http://korean.go.kr/front/etcData/etcDataView.do?mn_id=216&etc_seq=105 |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 http://korean.go.kr/front/etcData/etcDataView.do?mn_id=216&etc_seq=106 |
기타 | |
관련 단체 | 국립국어원 |
참고 | 문화어 (북한의 표준어) |
2. 역사
일제강점기에 일본 정부는 한국어 사용을 규제했다. 이에 조선어학회는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발표하며 표준어 제정 노력을 하였다.[3]
2. 1. 일제강점기 표준어 제정 노력
일제강점기 한국어 사용은 일본 정부에 의해 규제되었다. 이러한 일본 당국의 영향력에 대항하기 위해, 조선어학회(한글 학회)는 한국 전역의 방언 자료를 수집하기 시작했고, 이후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발표하며 자체적인 한국어 표준안인 표준어|Pyojuneo한국어를 만들었다.[3]3. 표준어 규정에 대한 위헌 확인 소송
헌법재판소는 2009년 5월 28일 표준어 규정에 대한 위헌 확인 소송에서, 표준어 규정 자체는 개인의 법적 지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부적법하다고 각하했지만, 공문서와 교과서에서 표준어 사용을 강제하는 것은 합헌이라고 판결했다.[9]
이는 공공기관의 공문서 작성과 교과용 도서 편찬에 있어 표준어 규정을 준수하도록 한 국어기본법 조항들이 헌법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본 것이다. 헌법재판소는 공적 언어생활의 최소한의 범위를 규율하는 것이며, 사적인 언어생활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했다.
특히, 헌법재판소는 한문과 일본어로 공교육과 행정 언어가 이루어졌던 한국의 역사적 특수성을 고려할 때, 표준어 확립은 국어 및 문화 정체성을 지키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판단했다. 또한, 공문서와 교과서에서 표준어를 사용하지 않으면 의사소통에 혼란을 초래하고, 학생들이 표준어를 배울 기회를 잃게 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공익을 위한 필요불가결한 규율이라고 설명했다.
3. 1. 헌법재판소 판결 (2009)
헌법재판소 전원재판부는 2009년 5월 28일 표준어 규정 제1조 제1항 등에 대한 위헌확인 사건에서, 표준어 규정(1988. 1. 19. 문교부 고시 제88-2호) 제1부 제1장 제1항 등 부분은 심판청구를 각하하고(전원일치), 공공기관의 공문서를 표준어 규정에 맞추어 작성하도록 한 구 국어기본법 제14조 제1항 부분과 교과용 도서를 편찬하거나 검정 또는 인정하는 경우 표준어 규정을 준수하도록 하고 있는 구 국어기본법 제18조 부분은 심판청구를 기각한다(7:2, 2인 재판관의 위헌 취지의 반대의견)는 결정을 선고하였다.[9]표준어 규정에 대한 부분은 청구인들의 법적 지위에 영향을 미친다고 인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전원일치로 부적법 각하되었다.
이 사건 법률조항에 의하여 강제되는 표준어 규정의 범위는 공문서 작성과 교과서 제작이라는 공적 언어생활의 최소한의 범위를 규율하는 것이므로, 개인적인 차원에서 사용하는 표현으로서 일상생활의 사적인 언어생활은 아무런 제한을 받지 않는다.
공적 언어의 기준으로 표준어를 형성하기 위하여 국가가 공권력을 통하여 개입할 필요성에 대해서는, 역사적으로 우리나라는 한문과 일본어로 공교육과 행정 언어가 이루어졌으며, 불과 60여 년의 짧은 기간 동안 표준어를 형성해 온 현실 속에서 표준어를 확립하는 것은 우리 국어 및 문화의 정체성을 지켜내는 의미를 갖는다.
공문서 작성에 관하여는 공문서에 사용되는 국어가 표준어로 통일되지 않는 경우 의사소통상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필요불가결한 규율이다.
교과용 도서의 경우 각기 다른 지방의 교과서를 각기 다른 지역의 방언으로 제작할 경우, 각 지역의 방언을 사용하는 학생들은 표준어를 체계적으로 배울 기회를 상실하게 되고, 이는 국가 공동체 구성원의 원활한 의사소통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기에 공익을 위하여 필요불가결한 규율이라는 점 때문에 기각되었다.
3. 2. 헌법재판소 판결의 주요 내용
헌법재판소 전원재판부는 2009년 5월 28일 표준어 규정 제1조 제1항 등에 대한 위헌확인 사건 중 표준어 규정(1988년 1월 19일 문교부 고시 제88-2호) 제1부 제1장 제1항 등 부분은 심판청구를 각하하고(전원일치), 공공기관의 공문서를 표준어 규정에 맞추어 작성하도록 한 구 국어기본법 제14조 제1항 부분, 교과용 도서를 편찬하거나 검정 또는 인정하는 경우 표준어 규정을 준수하도록 하고 있는 구 국어기본법 제18조 부분은 심판청구를 기각한다(7:2, 2인 재판관의 위헌 취지의 반대의견)는 결정을 선고하였다.[9]표준어 규정에 대한 부분은 청구인들의 법적 지위에 영향을 미친다고 인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전원일치로 부적법 각하되었다.
이 사건 법률조항에 의하여 강제되는 표준어 규정의 범위는 공문서의 작성과 교과서의 제작이라고 하는 공적 언어생활의 최소한의 범위를 규율하는 것이므로, 개인적인 차원에서 사용하는 표현으로서 일상생활의 사적인 언어생활은 아무런 제한을 받지 않는다.
공적 언어의 기준으로 표준어를 형성하기 위하여 국가가 공권력을 통하여 개입할 필요성에 대해서는, 역사적으로 우리나라는 한문과 일본어로 공교육과 행정 언어가 이루어졌으며, 불과 60여 년의 짧은 기간 동안 표준어를 형성해 온 현실 속에서 표준어를 확립하는 것은 우리 국어 및 문화의 정체성을 지켜내는 의미를 갖는다.
공문서 작성에 관하여는 공문서에 사용되는 국어가 표준어로 통일되지 않는 경우 의사소통상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필요불가결한 규율이다.
교과용 도서의 경우 각기 다른 지방의 교과서를 각기 다른 지역의 방언으로 제작할 경우, 각 지역의 방언을 사용하는 학생들은 표준어를 체계적으로 배울 기회를 상실하게 되고, 이는 국가 공동체 구성원의 원활한 의사소통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기에 공익을 위하여 필요불가결한 규율이라는 점 등 때문에 기각되었다.
참조
[1]
서적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
서적
Attitudes to World Englishes: Implications for Teaching English in South Kore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3]
학술지
Language planning in Korea under the Japanese colonial administration, 1910–1945
http://www.tandfonli[...]
1992
[4]
문서
標準語規定第1部第1項
[5]
문서
말(マル)は漢字語の어(語、オ)に相当する固有語。便宜上漢字表記および日本語読みは語に置き換えている。
[6]
웹사이트
표준어 규정
http://www.korean.go[...]
[7]
뉴스
이상규 경북대 교수 "표준어 정의, 빨리 바꿔야"
http://www.imaeil.co[...]
매일신문
2009-00-00
[8]
웹인용
한글 맞춤법
http://korean.go.kr/[...]
2014-06-20
[9]
판례
표준어 규정 제1장 제1항 등 위헌확인 (국어기본법 제14조, 제18조)
http://kids.ccourt.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